<한국레즈비언상담소> 사이트 이용 안내
<한국레즈비언상담소> 홈페이지 사용을 위한 공식적인 접근성에 대하여 알려드립니다.
이와 관련된 문의사항이 있으실 때에는 메일(lsangdam@lsangdam.org) 주시기 바랍니다.
접근키
* 대부분 브라우저는 웹사이트에 정의되어 있는 키를 통해 특정 링크로 건너뛰기 하는 것을 지원합니다. 브라우저별 접근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.파이어폭스 : Shift+ALT+접근키,
크롬 / 익스플로러 : ALT+접근키,
사파리 : Control+접근키
오페라 : Shift+ESC 후 접근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* 이 사이트의 접근키는 아래와 같습니다.
Access key 0 : 접근성 안내페이지로 이동
Access key 1 : 메인페이지로 이동
Access key 2 : 사이트 맵으로 이동
Access key 3 : 로그인으로 이동
Access key 4 : 검색으로 이동
Access key 9 : 관리자에게 이메일 보내기
표준준수
1. 이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는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에 따르고 있습니다.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제공하는 K-WAH2.0, K-WAH3.0으로 접근성 평가를 했을 때 단 하나의 오류도 발견 할 수 없습니다. 그러나 이는 기계적인 판단에 불과합니다. 기계적으로 접근성을 판단할 수 있지만, 기계가 판별할 수 없는 예외적인 것들이 있습니다. 여기에 있는 모든 지침을 재검토했을 때, 모든 페이지가 웹 접근성 지침에 따르고 있다고 믿습니다.2. 이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는 WCAG AAA로 승인되었고 W3C Web Content Accessbility Guidelines의 1,2,3 지침을 우선으로 따르고 있습니다. 이 역시 의문의 여지가 있는 주관적 판단입니다. 많은 지침이 의도적으로 모호하고, 자동으로 테스트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. 모든 지침을 재검토했을 때, 모든 페이지가 지침에 따르고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.
3. 이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는 미국 재활법 508조 기준으로 승인되었고, 미국 재활법 508조 기준을 따르고 있습니다.
4. 이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는 XHTML 1.0 Strict로 유효합니다. 이것은 의문의 여지 없이 객관적입니다. 에디터에 의해 등록되거나, 문서 제작 툴에서 복사하여 붙인 게시물도 자동으로 소스를 교정하여 100% XHTML 유효성의 정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. 모든 페이지 하단에 있는 XHTML 유효성을 체크해보십시오.
5. 이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는 구조화된 의미 마크업을 사용합니다. H1 태그는 메인로고를 위해 사용되고, H2 태그들은 게시판 타이틀을 위해 사용되고, H3 태그들은 게시판 제목을 위해 사용됩니다.
언어
1. 이 사이트에 사용된 기본 언어는 한국어이며 본문내용에 영어 등 다른 언어가 사용된 경우 사용언어별로 마크업이 되어 있습니다.2. 모든 콘텐츠는 상태크기 폰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 브라우저 텍스트 설정을 조절할 필요없이 웹페이지를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.
휠 마우스를 사용하시는 분은 좀 더 쉽게 글자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.
글자크게 : Ctrl + 휠 올리기
글자작게 : Ctrl + 휠 내리기
키보드를 이용해서 글자크기를 조절하실 수 있습니다.
글자크게 : Ctrl + +
글자작게 : Ctrl + -
내비게이션
홈페이지의 모든 페이지는 검색박스(접근키 4)를 포함합니다. 고급 검색 선택은 고급 검색페이지에서 활용 가능합니다.
게시판 사용
1. 게시판 호출 시 페이지 타이틀을 게시판에 특성에 맞게 제공됩니다.
- 리스트에서는 페이지타이틀이 게시판 쪽수와 함께 표시됩니다. 게시판에서 브라우저의 페이지 타이틀을 보십시오.
※ 예) 게시판 이름[쪽수]-홈페이지
- 본문 내용을 읽을 때는 페이지 타이틀이 게시판 레코드 타이틀을 함께 표시합니다. 게시물 읽기에서 브라우저 상단 페이지 타이틀을 보십시오.
※ 예) 게시물 제목- 게시판 이름[쪽수] -홈페이지
2. 에디터는 웹 접근성에 문제가 없는 CKEditor를 사용합니다. 어떤 단체든지 웹자보를 올릴 때는 웹접근성 지침에 따라 글을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.
3.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, 스팸 판단을 자바스크립트가 담당하고 있어 비회원은 글을 쓸 수 없습니다. 이에 대한 좀 더 효과적인 기술적 조언을 기대합니다.
링크
1. 이 홈페이지의 모든 링크는 현재 창에서 열립니다. 예외적인 것은 타이틀을 통해 ‘새 창’이라고 표시하고 있습니다.2. 많은 링크가 타이틀 속성을 가집니다. 이는 글의 제목과 같은 링크 텍스트가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 않다면, 그 링크를 상세하게 설명합니다.
3. 각각의 링크는 문맥을 떠나서도 이해할 수 있도록 쓰여 있습니다.
이미지
1. 이 사이트에 사용된 모든 내용 이미지들은 설명적인 ALT 속성을 포함합니다. 단순히 장식적인 그래픽은 공백 ALT 속성들을 포함합니다.2. 복잡한 이미지들은 시각적으로 각 이미지를 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설명하기 위해 LONGDESC 속성이나 inline 설명을 포함합니다.
자바스크립트 사용
1. 이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되었습니다.2. 자바스크립트는 보조적으로 사용하며 모든 브라우저에서 지원하는 jQuery를 기본으로 합니다.
머리글자 사용
1. 이 사이트에 사용된 모든 약어는 머리글자를 사용합니다.2. 오페라브라우저 사용자들은 머리글자 제목을 툴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약어이해에 도움을 줍니다.
3. 모질라는 약어에 자동으로 점선으로 밑줄 쳐진 머리글자를 표시하여 줍니다.
비주얼 디자인
1. 이 사이트는 시각적 레이아웃을 위한 CSS(cascading style sheets)를 사용합니다.2. 사용된 폰트는 상대적 폰트 사이즈를 사용하는데, 이는 시각적 브라우저 사용자들의 텍스트크기 조절에서 설정합니다.
3. 브라우저가 stylesheets를 전혀 지원하지 않더라도 각 페이지의 내용을 모두 읽을 수 있습니다.
4.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모든 페이지의 내용은 여전히 읽을 수 있으며, 게시판 검색 내비게이션도 정상 작동합니다.
웹의 힘은 그것의 보편성에 있다. 장애에 구애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이다.
(The power of the Web is in its universality, Access by everyone regardless of disability is an essential aspect.)
- 팀 버너스 리 경-웹의 창시자 (Tim Berners - Lee , W3C Director and inventor of the World Wide Web)